티스토리 보안 http? https?
안녕하세요. 애드센스 FunFun 입니다. 이번에는 Web사이트 운영을 해 나가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https" 에 대해 가급적 쉽게 이해하기 편하게 설명해드리고 합니다.
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https라는 용어로 가끔씩 검색을 하여 찾아보지만 아직도 이해를 하기 쉽지 않은 글들만 있는것 같아 https에 관한 정보 https와 http 가 뭐가 다른지 풀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 란 무엇인가? 어떤 의미가 있나?
https는 보안이 강화 된 Web 사이트의 URL을 머리에 붙어있는 일종에 수식어입니다.
정식 명칭은 "https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에서 빨간색 문자 "Secure" 에서 알 수 있듯, 악의적인 해커의 공격으로부터 Web 사이트 방문자를 보호하기 위해 대책이 되어 있다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인터넷을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은 URL 부분이 표시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 위의 이미지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입니다.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표시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열쇠 마크 + 안전함 https:// ~ " 라는 식의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표시가 있는 사이트는 "https 화 (또는 SSL 화 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만큼 안전성이 높은 사이트라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죠.
Web 사이트가 https라면 구체적으로 무엇이 안전한가?
'보호'라든가 '안전'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Web 사이트는 https라면 구체적으로 무엇이 안전한가? 그 대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문자의 개인 정보를 안전&보호 하고 있다!!
https 사이트는 "교환이 암호화 된다" 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Web 사이트의 문의 양식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보내기
- 인터넷 쇼핑 사이트 주소와 신용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 결재
- 숙박 시설의 사이트에 이름과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여 전송, 예약, 결재
등 사이트 운영 업체에 개인 정보를 기입하여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됩니다. 기존의 http 사이트는 이 개인 정보의 교환이 암호화되어 있지 않고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람에 의해 알게 모르게 개인 정보를 빼가는 위험성이 있었습니다.
(100% 위험하다! 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런 가능성이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http 사이트에서는 브라우저이 URL이 표시되는 부분에 "! (느낌표)" 가 표시되고 클릭하면 아래의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 이미지는 티스토리 애드센스 FunFun 블로그입니다.
↑ 이미지는 티스토리 애드센스 FunFun 블로그입니다.
↑ 이미지는 https가 적용된 블로그의 화면입니다. 브라우저의 URL 옆에 표시되는 열쇠 마크를 클릭하면 안전성을 알리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보안 연결 - 비밀번호나 신용카드 번호 등의 정보는 비공개 상태로 이 사이트에 전송됩니다.)
요즘 세상에 인터넷 쇼핑이나 Web 예약은 당연한 사실입니다.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 편리함 뒤에는 언제나 악의적인 마음으로 개인 정보를 빼내어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티즌들이 보다 안심하고 Web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락처 양식 및 등록 양식, 결재 양식 등이 있는 Web 사이트는 향후 https로 운영해 나가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 http에서 https 로 변경후 Google 애널리틱스 및 웹로그 분석에 다시 등록하는 방법
티스토리 https ?
제일 중요한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https 적용입니다. 그냥 무료인데... 사용하지 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일단 보안적인 부분도 있고 https 설정으로 다른 이점들이 많기 때문에 방법을 강구중입니다. 애드 센스를 운영한다면 더욱 더 https를 설정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Google 검색에서 순위가 더 높아짐
- 다른 보안 웹사이트에서 유입되는 트래픽이 분석 정확도 개선
- 보안이 강화되어 트래픽 도용 감소
이런 장점에도 https를 설정하지 않겠습니까?
혹 이글을 보시는 분들중 구글 블로그스팟(blogspot)을 운영하고 있다면 https 활성화가 가능하니 아래의 글을 참고하여 적용하세요.
하지만 아쉽게도 개인이 설정할 방법은 없다고 티스토리 고객센터에서 말하고 있네요. 무료라서 좋지만 추후 https 문제가 개선되길 바라면 이 글을 마치고자 합니다.
#애드센스사이트보안강화 #http #https #티스토리 #블로그보안 #사이트보안
2018/01/24 - [블로그돈벌기] - 스마트 프라이싱, 클릭 단가 조정되는 이유
2018/01/14 - [블로그돈벌기] - 주부가 부업으로 매달 10만원 버는 방법
2017/01/08 - [블로그돈벌기] - 블로그 제목글 (h태그) 사용법 및 절대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
2017/01/06 - [블로그돈벌기] - 구글(Google) 색인 확인 방법
'애드센스(Ad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최적화 란? Google 검색에서 상위 표시하는 방법 (0) | 2018.01.31 |
---|---|
http에서 https 로 변경후 Google 애널리틱스 및 웹로그 분석에 다시 등록하는 방법 (1) | 2018.01.29 |
애드 센스를 잘하는 블로그? (0) | 2018.01.27 |
애드 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이유 (1) | 2018.01.26 |
애드 센스 로그인 방법 (0) | 2018.01.25 |
댓글